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대결 싱어게인 VS 우리 이혼했어요 [시청률 기상도] 핫한 신예들의
    카테고리 없음 2021. 1. 29. 11:23

    현재 월요일은 예능 프로그램 사이에 상당히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는 요일입니다. 토죽대감 <동상이몽 2군은 내 운명>과 <개는 훌륭하다> 등이 무난하거나 무난보다 조금 낮은 시청률을 기록하고 있을 때 JTBC가 무명 가수 오디션 <싱어게인>을 내면서 월요일 예능 프로그램에서 주도권을 잡았습니다. 그리고 금요일에 처음 편성되어 첫 방송부터 시청률 10%에 근접한 결과를 내 주목을 받았던 TV조선의 "우리 이혼했어요"가 "미스트롯 2" 런칭에 의한 프로그램 이동으로 월요일에 이동했던 두 종편(종편)의 뜨거운 신규 프로그램의 대결. 2주를 맞이했습니다. <싱어게인>이 오디션이라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지만 어쨌든 두 프로그램의 인기와 시청률을 비교해봅니다.

    JTBC 싱어게인 1월 4일 6.2% 1월 11일 8.5%

    TV조선 우리 이혼했어요 1월 4일 1부 4.8% 2부 6.4% 1월 11일 1부 6.7% 2부 7.4%

    우선 우열을 가리기 전에 재미있는 점이 하나 있어요. 두 프로그램은 시작 시간에 30분 정도 차이가 나지만 어쨌든 비슷한 시간대에 경쟁합니다. 그런데 2주차에서 두 프로그램 모두 시청률이 상당히 상승했습니다. 이유가 뭘까요? 엄청난 시청률을 기록한 SBS 월화드라마 펜트하우스가 끝났기 때문이죠. 둘째 주 월요일에는 <펜트하우스>가 방송하던 시간에 <동상이몽2군은 나의 운명>이 방영되었습니다. 해당 시간대의 파이가 거의 20%p 정도 줄어든 셈입니다. 당연히 경쟁작들이 대체로 시청률이 상승할 수밖에 없죠.

    두 프로그램의 시청률을 볼까요? 먼저, <싱어게인>은 원래 월요일이고 <우리 이혼했어요.은 금요일부터 옮겨온 경쟁작이 어떤 프로냐에 따라 시청률이 달라지기도 하지만 시간대를 옮기는 것이 시청률 변화가 훨씬 큰 것이 일반적입니다. 우리 이혼했어요.금요일부터 옮겨온 이후가 좀 더 낮습니다 펜트하우스가 없는 2주차 시청률로 비교해도 마찬가지입니다. 물론 프로그램 자체가 높은 시청률로 시작했는데 기세가 꺾이지 않아 제자리걸음을 했지만 자체적인 이유로 하락했다고 보기는 어려워요.

    그러면 경쟁작이 더 세기 때문일까요? 사실 금요일에 방영될 당시에 경쟁작이 약하진 않았어요. 1시간 정도 차이는 있지만 신서유기 나 혼자 산다 같은 대형 연예인과 대결했기 때문이죠. 그 외의 동시간대 프로그램도 어느 정도 시청률이 나오고 있었던 상황입니다. 월요일 저녁이 파이가 작다는 것을 설명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사실 싱어게인도 그렇고 신서유기 나 혼자 산다 등은 철저한 2049 타깃 프로그램으로 우리는 이혼했어요.타깃이높아서완전히파이를다루는사이는아닌데요.

    포털에서 검색했을 때 1주차 시청률은 <우리 이혼했는데 더 높게 나온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TV조선은 종편이라 광고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프로그램을 1, 2부로 나눠 방송합니다. 지상파야말로 꼼수이긴 하지만 중간광고를 못하니까 유사한 중간광고를 만들어 낸 것인데 중간광고가 허용되는 종편이 왜 1, 2부를 쪼개 방송하는지는 모르겠어요. 포털에서 검색해 나오는 시청률은 평균 시청률이 아니라 1, 2부의 시청률 중 더 높은 수치입니다. 모든 N부 편성 프로그램도 마찬가지입니다. 2부가 아니라 3부까지 있으면 1~3부 중에서 시청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포털에 올라갑니다. N부에 쪼개지지 않는 프로그램이 불리한 점이 있습니다. JTBC는 주요 프로그램을 가리지 않고 방송합니다. JTBC와 주 타깃이 비슷한 tvN도 나누지 않는데요, 예외적으로 <금요일, 금요일 밤에>등을 2부로 나누어 방송한 사례가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평균 시청률을 비교하기 위해 1부와 2부의 시청률을 더해서 2로 나누고, 이것을 평균 시청률이라고 해요. 하지만 이는 평균 시청률이 아닙니다. 1부와 2부는 시간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서 90분으로 편성된 프로그램 중 1부가 70분이고 2부가 20분이라면 1부와 2부의 시청률 중간값을 평균 시청률이라고 이야기해야 할 것입니다. 중간값보다 한 부에 가까운 수치가 평균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지상파의 경우 일간 시청률 순위표에서는 1부와 2부가 따로 나오는데 주간 시청률표에서는 평균 시청률이 계산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종편의 경우 1부와 2부의 프로그램 이름이 처음부터 다르게 입력되고 평균적으로 계산되어 나오지 않습니다.

    우리 이혼했어요 1월 4일 방송의 경우 2부 시청률은 6.4%로 싱어게인의 6.2%보다 높은 것 같지만 1부가 4.8%여서 평균을 계산하지 않아도 싱어게인이 더 높았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1월 11일에는, 이러한 복잡한 계산의 필요없이, <싱어게인>이<우리 이혼했어요. 의 1, 2부모 모두 더 높은 결과가 나왔습니다.

    그러면 <싱어게인>이 무조건 <우리 이혼했어요>보다 잘될까요? 일단 그렇게 생각하는 것은 금물이에요. 시청률이 단순히 높으면 더 인기 있는 시대는 지났어요. 저연령층의 TV 이탈은 고연령층의 이탈보다 속도가 더 빠릅니다. 고연령 타깃 프로그램이 시청률 경쟁에서 유리한 것은 사실입니다. <싱어게인>의 메인 타깃이 <우리 이혼했어요>의 메인 타깃보다 나이가 적기 때문에 이런 논리라면 오히려 차이가 더 벌어지게 됩니다.

    단, 또 고려해야 할 사항이 있습니다. <싱어게인>은 오디션 프로그램입니다. 오디션이라고 다 다른 건 아니지만 흥행몰이는 공통적으로 회가 거듭될수록 상승세를 타요. 시청률이 꾸준히 상승곡선을 그리며 끝나는 오디션과 정규관찰 예능인 <우리 이혼했어요>를 동선상에서 비교하기는 어려울지도 모릅니다.

    시청률로 단순 비교하기 어려운 경우 가장 체감 인기를 정확하게 보여주는 한국 갤럽의 '한국인이 좋아하는 TV 프로그램' 순위를 살펴보겠습니다. << 싱어게인>과 <우리 이혼했어요>>는 같은 시기에 시작되었습니다. <싱어게인>은 2020년 12월 순위에서 종합 11위, 예능 중에서는 7위에 올랐습니다. 우리 이혼했어요.>는 20위안에 들지 못했습니다> < 우선 <싱어게인>이 <우리가 이혼했습니다 더 큰 반응을 얻고 있다는 해석은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