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사회에서는 과도한 식사로 인해 고지혈증의 증상을 경험하고 있는 사람을 쉽게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음식을 먹는 것은 사람이 살아가기 위해 필수적이지만 필요 이상으로 섭취하면 몸에 지방이 축적돼 성인병이라 불리는 질환으로 이어집니다. 그 중에서도 고지혈증의 경우 지방 대사 조절 기능에 이상이 발생하여 혈관이나 혈액 중에 콜레스테롤이나 중성 지방이 증가하여 나타나는 질병입니다.
혈중 지방치가 지나치게 높아져서 혈관 내벽이 손상되거나 동맥이 굳어 심장, 뇌와 같은 중요한 부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기름진 음식이나 짠 음식을 잘 찾는 식습관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유전적인 원인에 의한 것도 있습니다. 현대 성인병으로 바로 나타나게 된 이유는 술이에요. 일반적으로 기름진 안주와 함께 마시는 술은 안주의 지방뿐만 아니라 음주 시에도 몸에 지방이 쌓이기 때문에 고지혈증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고지혈증의 증상은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는 편이기 때문에 자각하지 못하는 사이에 여러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혈관에 지방이 많다는 것은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는 만큼, 여러 심혈관계 질환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는데요. 심근경색이나 뇌졸중, 동맥경화와 같이 생명에 직결되는 문제가 합병증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중성지방의 증가로 인해 췌장에 염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은 이러한 문제가 동시에 일어나고 나서 고지혈증이 되어 있는 것으로 인식되는데요. 이 밖에 비교적 조기에 확인할 수 있는 증상으로는 혈액 내 지방 증가로 인한 복통, 혈액순환 장애로 인한 손발 저림, 눈가에 노란 반점이 생길 수 있는데 생활 속에서 확인하여 알아차리기 어렵기 때문에 평소 기름진 음식 섭취나 음주를 자주 하는 경우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고지혈증의 증상 판단을 위한 검사 시에는 채혈을 통해 혈중 콜레스테롤과 지방의 수치를 측정합니다. 만약 총 콜레스테롤이 200 ml DL 이상, LDL 콜레스테롤 130 mldl 이상, 중성지방이 150 mgdl 이상으로 진단되면 고지혈증으로 간주됩니다. 기본적으로 개선 관리를 위해서는 약물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지방 섭취를 줄이고 운동을 병행하실 필요가 있는데요. 비만은 고지혈증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기 때문에 고기보다는 생선이나 채소, 과일류를 드시고 조리 시 양념으로도 동물성 지방을 피해 주세요.
"운동은 자체적으로 지방을 태우면서 우리 몸이 건강하고 건강한 상태를 찾을 수 있도록 단련시켜 주기 때문에 꼭 고지혈증 증상의 예방이나 관리를 위해서가 아니더라도 꾸준히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심혈관계를 강하게 하기 위해서 주 3회 이상, 1시간 정도의 운동을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만, 꼭 힘든 운동으로는 안되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