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C는 브라우저에 따라 다릅니다! 넷플릭스 화질 설정,카테고리 없음 2021. 2. 24. 05:59
추석 연휴, 오랜만에 온 가족이 한자리에 모였다. 불과 지난해까지만 해도 조카들의 보살핌은 필자의 몫이었다. 명절 음식을 만드는 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공원에 데려가 캐치볼을 하기도 하고 PC방을 앉히기도 했다. 그런데 올해는 다들 스마트폰으로 유튜브와 넷플릭스를 보고 있어. 코로나의 영향도 있겠지만 어른들뿐 아니라 아이들의 놀이문화도 많이 변했구나 싶었다 눈이 빠질 정도로 손바닥만한 작은 화면을 보고 있는 조카들이 불쌍해 컴퓨터로 편하게 보라고 권했다. 그런데 이게 웬일인가. 이번에 중학생이 된 놈이 집에서 엄마 노트북으로 보니까 화면이 깨져서 휴대전화로 보는게 좋다고 하잖아! 그래서 준비했다. 넷플릭스의 화질 설정을 찬찬히 보자.① 안드로이드 OS
우선 모바일이다. 크게 Android와 iOS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전자는 NETFLIX 모바일 앱에서 바로 설정할 수 있다. 하지만 후자는 아이폰에 기본으로 들어가는 사파리(Safari) 혹은 사용자가 따로 설치해 놓은 브라우저를 사용해야 한다. 그 과정이 PC와 100% 동일하기 때문에 첫 단계에서는 안드로이드 휴대전화 관련 내용만 다룬다. 앱을 실행한 후 아래의 경로로 이동하자.【더 보기】→【어카운트】→【프로필 선택】→【재생 설정】 기본적으로 자동 라디오 버튼이 활성화돼 있을 것이므로 그것을 고화질로 변경하면 된다. 사실 자동이나 고화질이나 크게 다르지 않다. 어떤 의미에서는 전자가 현재의 디바이스 상태에 최적화된 화질로 자동 변환해 주므로 실제 사용 환경에서는 더 도움이 될지도 모른다. 그러나 간혹 배터리도 충분하고 네트워크 상태도 양호한데도 화면이 저화질로 출력되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위의 설정을 해 두는 것이 좋다. ② iPhone & PC
PC와 iPhone은 NETFLIX 웹 사이트에 직접 로그인 하여 변경하면 된다. 순서는 앞에서 본 안드로이드와 같다. 덧붙여 환경설정은 각 프로필에 종속하므로, 스마트폰, 태블릿, 데스크탑, 랩탑 등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동일하게 동작한다. 당연히 A프로필과 B프로필은 서로 독립적이다.③디톱, 노트북으로 넷플릭스 화질 설정, 브라우저 확인 필수! 가장 좋은 방법은 win10 전용 앱을 사용하는 것! 시스템 사양이 충분한데도 불구하고, 비정상적으로 평상시 사용하고 있던 브라우저로부터 NETFLIX를 재생하면, 모바일 기기로 보았을 때와 달리 선명성이 상당히 떨어지는 것을 경험하는 것이 생각보다 많을 것이다. 여러분, 눈 나쁜 거 아니야.
문제는 브라우저에 있다. MS엣지, 익스플로러, 그리고 사파리를 제외한 다른 브라우저(ex. 크롬, 웨일, 파폭)들은 서비스 공급자들이 요구하는 DRM 수준을 충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프트웨어의 스크린 캡처에 의한 콘텐츠 유출에 견디기 위해 특정 브라우저에서는 해상도를 제한한 셈이다.
PC 환경에서의 저화질 문제, 이제 의문이 풀릴 것이다! 공식 자료에 따르면 크롬, 파이어폭스, 오페라 등에서는 최대 720p로 플레이된다. 반면 Edge, Explorer 그리고 mac OS에서의 Safari는 FHD 해상도로 감상할 수 있다. 그리고 프리미엄 멤버십으로 즐길 수 있는 UHD 콘텐츠는 엣지와 맥 OS 11.0 이상에서 사파리만 가능하다. (참고로 4K 콘텐츠는 디스플레이와 시스템 성능이 수반되지 않으면 정상적인 플레이를 할 수 없다.)
현재 해상도 확인방법 : Ctr l + Alt + Shift + D로 알다시피 세계 브라우저 점유율 1위는 Chrome이다. 그것도 압도적이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PC에서의 넷플릭스 화질 설정이 제대로 되어 있는지를 의심하게 된다. 확실히 옵션으로 「고화질」로 설정해 FHD 이상을 대응하는 멤버십을 결제했음에도 불구하고 영상의 선명성이 떨어지니 이상하게 생각하는 것은 당연한 일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제 편안한 감상이 가능해질 것이다. Windows OS 사용자라면 엣지 브라우저 또는 'Microsoft Store'에서 전용 앱을 설치해 사용하면 되고, mac 사용자는 사파리를 사용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