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 취득 성공! (말타기 파일, 인강추천, 3주 공부방법) 토목기사 실기 합격 후기: 토목기사 자격증카테고리 없음 2021. 3. 5. 04:12
안녕하세요. 바이허크나입니다.얼마 전에 토목기사 필기시험 후기 포스팅을 썼는데요. 오늘은 토목기사 실기시험 합격 리뷰를 쓰겠습니다! 2020년 1,2회 통합필기시험을 거쳐 이번 2회 실기시험에 합격했습니다 :) <필기시험 합격 후 포스팅은 아래 링크 > 안녕하세요.^^ 저는 2020년에 토목기사 필기시험을 준비하여 필기 합격했습니다!코로나때문에.. m.blog.naver.com
추천 : 네이버 블로그
당신의 모든 기록을 담는 공간
m.blog.naver.com
1) 독학? 인강?
독학할지 인강으로 할지 고민인것 같아요!저는 자단기 자유이용권 인강을 통해 실기 이론을 습득했습니다.(프리패스가 필기+실기처럼 연결되어 있는 강의입니다.)
저는 인강을 해놓은게 실기까지 같이 묶인 패키지라 인강을 들어본적도 있지만 필기 준비하면서 코로나때문에 2번이나 시험연기로 인해.. 필기시험도 보기전에 실기를 병행하면서 인강을 봤어요...! (웃음)
사실 실기는 필기시험을 준비할 때 토질역학 과목을 잘 준비하면 훨씬 수월하게 학습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실기에서 나오는 계산문제는 필기로 이루어진 토질역학 이론과 계산 부분을 그대로 이어받은 느낌입니다.
실준비를 할 때 "시간이 모자랄 것 같은데 인강을 받아야 할까?" 고민할 수도 있겠지만 그럼 기출문제를 하나 먼저 풀어보세요~! 그럼 인강에서 이론학습이 필요한지, 아니면 혼자서 학습이 가능한지 감이 잡히겠죠!^^
그리고 이건 그냥 저만의 생각인데 고민할 시간에 인강을 신청하든 말든 문제를 풀자 라는 주의예요.
고민하는 시간이 아깝잖아요. ㅠㅠ !
2. 준비해야할 과목
실기시험은정확히몇과목이냐!라고말못하는것같습니다.하지만 굳이 분류해서 나눈다면 물량산출이나 공정관리, 그리고 전반적인 이론계산문제가 출제된다고 생각한다면 훨씬 쉽게 접근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공부를 할 때 시공 실무 공사 관리 물량 산출이라는 세 파트로 분류해서 노트에 정리했습니다
실기 시험 유형을 따로 적어놨는데 물량산출하여 공사관리에서는 반드시 1문제씩 출제된다고 하니, 시공실무 부분에서는 토질 및 기초에서 반이상 비중이 높습니다!
3. 토목기사 실기시험정보
토목 기사는 25 문제에서 플루마 알파 정도의 문제 수로, 시험 시간은 3시간 주어집니다.
★여기서 알아야 할 것★올해부터 일부 문제 빼고는 단위가 KN으로 다 바뀌었어요.과거문제는t단위이고시험은kN,N단위로출제되니잘참고하셔서단위체계를완벽하게숙지하시는것이좋겠습니다.
왜냐하면실기시험은필기시험과달리답안산출과정도써야하고,답안에단위를써야정답처리가되거든요.만약에 열심히 과정을 잘 썼다고 해도 답안에 숫자만 표기하고 학점을 미작성했다면 그 문제는 0점이 됩니다.ㅜㅜ
그래서 꼭 학점 쓰기 연습을 하면서 공부하는 것이 좋습니다.
4) 말을 빼앗는다!
토목기사 실준비를 하고 있다고!말 뒤에서 제일 짜증나 라는 말을 되게 많이 하더라고요저도 말하기가 제일 귀찮고 힘든 부분이었어요.
말 그대로 기술하는 것이 그 문제를 모두 암기해야 합니다.
예시로기출문제를보여드릴게요.
이렇게 서술식 대답이에요.문답형이라고도 할 수 있지요! 필기시험 때는 딸 수 있지만 실기시험은 이렇게 필답형으로 시험을 봐야하기 때문에 딸 수 없습니다!!
하지만 언어 문제를 꼭! 맞춰야 하는데~ 수백 개가 넘는 엄청난 양을 어떻게 다 외우죠? 하면서 막연했는데! 모든걸 외우지 않으면 안된다는 마인드보다는 300개정도만 완벽하게 외우고 가자! 이런식으로 공부하는게 좋았습니다.
왜냐하면 화술이 새로운 문제로 하나 출제될 수 있기 때문에 다 맞힐 필요는 없다고 생각해요.
대신! 물량 산출문제와 공정관리는 만점을 받고 들어가야 말을 아끼는게 조금만 틀려도 커트라인을 넘을수 있을겁니다!!!
+
<이야기를 듣는 과거 파일을 정리한 것>
카페에 들어가면 말만 묶어둔 정리 파일이 흘러가요! 주워 그것을 학습했습니다.
5. 공부법_ (진도)
공정관리:7일 물량 산출:7일 시공관리(토질):10일
저는 대개 이 정도 시간을 갖고 실기공부를 했습니다.(코로나때문에 필기시험이 연기되고 그로인해 필기시험을 치르지도 않았지만 실기와 함께 병행학습을 했습니다.) 물량산출과 공정관리를 2주안에 인강을 다 듣고나서 바로 시공관리부분과 기출문제 푸는 일을 시작했습니다.
6. 공부법_(과목별 공부팁)
토목기사 실기 기출문제를 여러 번 풀어보면서 부족한 파트의 이론을 꼼꼼히 되새기기 위해 공부했어요.그리고 실기 기출 문제 중에 다음 문제가 나와있는데, 그 위에 출제 연도가 나와있어요.언제, 언제 출제된 문제인지 알겠어요.그 당시에만 나왔던 말을 다루는 방법은 그냥 한 번 풀었다가 다시 연습하는 정도로 학습을 했습니다.그 대신 기출문제가 많이 출제된 '말사냥'은 꼭 암기를 했습니다.제 기준으로 한 번 나온 것은 빼고 두 번 이상 출제된 것은 모두 암기해야 한다고 생각했어요.
그리고 기출문제를 한 번 풀 때 언어사냥이 많이 나오는 편은 아니기 때문에 따로 정리한 언어사냥 파일을 프린트해서 그것만으로도 지속적으로 학습하고 암기해 놨습니다.
같이 어떤 자료도 있었지만, 저는 나름대로 외웠습니다.ㅜㅜ남이 쉽게 외우라고 했던 방식은 이상하게 쉽게 잊게 되더라구요. 그래서 저는 나름대로 암기했고 운 좋게도 제가 암기한 말사냥이 그대로 시험에 출제되었습니다.또 출제될 정도로 비중이 높은 언어의 문제이기 때문에 자신의 암기 칩을 부끄럽지만, 여기에서 한 문제를 전수하겠습니다.
문제:구조물공사는지하수가배제된상태로시공하거나언지반에구조물을축조한후주변을성토하여구조물을완성함 이 경우 지하수위 상승으로 인해 양압력에 의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물의 기초바닥에 작용하는 양압력(부력)에 저항하는 방법 3가지를 적어주시기 바랍니다.
암기 Tip> 양압력(부력) 저항방법 묻기 문제! ↓ 부, 영양, 죽음
답 : ① 부력 앵커 설치 방법 ② 영구 배수 처리 ③ 모래 하중 증가 방법
부용양사에서 양이 왜 있지? 양압력에 대한 질문이라는 것을 기억하기 위한 암기법입니다.(웃음)
만약 제 암기법이 도움이 되셔서 암기하셨다면 여러분은 벌써 한문제 암기에 성공하셨을거에요!! ^^
그리고.
공정관리와 같은 경우는 확실히 처음에 배워야 한다고 생각합니다.이부분은반드시인강을가지고적당히공정을그리는연습을배우고거기에맞춰서기출을반복적으로풀어보면익숙해지는것이방법일것같습니다.
공정관리의 경우는 한 번에 그려지기 쉬운 것도 있습니다만 대부분은 몇 번이나 반복해서 고치는 작업으로 완성됩니다.따라서 실제 시험에서는 볼펜이 아닌 반드시 연필로 그리고 완성되면 펜으로 덧칠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 다음
물량 산출 부분은 식이 맞으면 만점을 받기 쉬운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그런데 이 부분은 실패하기 쉬운 문제인데 그 이유는 경사진 벽에 경사가 생길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그리고, 앞과 뒤 경사가 다른 부분도 있으므로 이러한 부분을 잘 체크하고 느슨하게 하면 제대로 맞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시험을 앞두고 꼭 해야 할 일
기출문제 꼭 풀어!
저는 한솔이 빨간책을 사용했어요!!
세트구매로 해서 3권에 기출문제가 수록되어 있기 때문에 기출을 최대한 풀려고 노력했습니다!!
그런데 저는 책에 바로 풀지 않고 다른 에이포 용지에 문제, 해답 산출 과정을 다 써서 풀었어요!
만약 한번에 붙지 않으면 책을 다시 읽어야 할 일도 있었고...! 제 손으로 문제를 쓰거나 풀거나 하면 더욱 기억에 남아요 (웃음) 그래서 그랬는데 팔이 아파 죽는 줄 알았어요...^^;; 아, 그리고 저는 실기 기출문제를 2009년부터 2017년까지 밖에 못봤어요.18년이나 19년이나 못보고 가서 기분 나빴지만 시간이 되신다면 최근 3년간은 다 보고 가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대략 7년 정도는 추천하고 있다고 생각해요.
저는 이렇게 준비하고 필기에 붙어서 바로 실기시험에 합격했습니다!
공부방법이 사람마다 다르니 이 글은 참조용으로만 봐주시고, 필요한 정보만 빼주세요~ ㅎㅎ <리타이어 첨부파일 공유> 본 파일은 토목기사 카페와 토크룸에서 입수한 파일입니다.(첨부파일 비밀번호는 하트를 꾹 눌러주시고, 이웃추가 후 댓글로 남겨주시면 알려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