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자율주행버스' 세종BRT가 달리는 시민을 태운
    카테고리 없음 2021. 4. 22. 15:58

    □ 세종자율주행규제자유특구, 국내 최초로 승객이 탑승하는 간선급행버스체계(BRT) 대중교통서비스 실증 및 자율주행 사업화 모델 선도

    □ 3월 30일(화) 권칠순 장관은 '세종자율주행특구' 실증현장을 방문, 특구기업체들과의 간담회를 통해 자율주행산업 발전방향 논의, 중소벤처기업부(장관 권칠순, 이하 중기부)와 세종특별자치시(시장 이충희, 이하 세종시)는 일반시민 자율주행버스에 탑승할 수 있는 간선급행버스시스템(BRT)과 대중교통서비스 실증을 본격화한 바 있다.

    중소기업부장관과 세종시장은 3월30일(화) 세종산학연클러스터지원센터를 방문해 특구 참가기업 대표들과 소통간담회를 갖고 특구기업이 개발한 자율주행버스를 시승해 운행 등 안전성 전반을 점검했다.

    이번 방문은 권칠승 장관 취임 후 규제자유특구 첫 현장 방문으로 세종특구 사업의 실증 진행 상황을 살펴보고 기업 애로사항, 사업화 방안 등 자율주행산업 발전 방향에 대한 현장 목소리를 듣기 위해 마련됐다.

    세종규제자유특구*(2019.8 지정)는 지난해 5월부터 주거단지, 도심공원, 일반도로에서 자율주행차 실증에 착수해 위치측정 기술력 향상, 안전 매뉴얼 수립 등 기술 안전성 확보에 주력해 왔다.

    *㈜오토노마스에투지, ㈜앤맨드솔루션 등 12개 기업·기관 참여 총 6종의 자율차 실증

    이번 실증은 그간 축적된 기술안전성과 실증데이터 등을 기반으로 실제 대중교통 노선 실증구간을 확대해 '국내 최초 간선급행버스체계(BRT) 유상운송서비스' 실증 등 사업화 모델을 더욱 강화해나간다.

    이번 실증을 위해 ㈜오토노마스에이투지가 간선급행버스체계(BRT) 구간에 여객운송한정면허 특례를 부여받고 실증구간내 정밀도로지도* 구축, 시범운행과 안전점검과 평가 등을 거쳐 3월말부터 여객운송서비스 실증을 시작하고, 5월부터는 일반시민들이 저비용(500원 이하)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유상으로 운영할 예정이다.

    * 자율차의 각종 센서가 도로나 주변상황 등을 자세히 인식할 수 있는 초정밀 지도

    또한 지난해부터 운영해온 자율주행시민체험단(1, 2기 총 60명)의 만족도*가 높은 점을 고려해 대중교통 자율주행서비스 실증에도 체험단(30명)을 모집하여 실증체험과 시민의견 청취의 기회를 갖는 한편, 기존 도심공원에서는 관광셔틀 실증체험을 주 5회(월~금 10~15시)로 확대 운영한다.

    * 자율차 긍정적 인식(긍정 54% 보통 25%), 자율차 도입 시 대중교통 접근성 개선 기대

    ** 온라인 모집(3월 25일~4월 2일 시청 홈페이지 등), 사전교육 및 실증체험(4월 10일~4월 30일)

    또한 산학연 클러스터센터에 '자동주행 빅데이터 관제센터'를 상반기까지 구축하여 실증차량 관제, 차량-물간 통신(V2X) 연계 등으로 안전성을 강화하고 데이터를 수집, 분석해 국내 자율주행 스타트업 및 연구기관 등에서 공유,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특히 빅데이터관제센터에는 관제실과 함께 오픈랩, 서버실, 홍보관 등을 갖추고 하반기부터 관제센터 이용을 희망하는 국내 스타트업 기업, 연구기관 등의 데이터 분석·활용, 기술개발 등을 지원하는 오픈랩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 자율주행 데이터 분석·활용 지원, 연구장비 및 시설물 지원, 자율주행 SW 개발 기술지도 등

    권칠순 중소기업기획부 장관은 간담회에서 "세종시는 최적의 첨단 교통 인프라를 갖추고 있는 만큼 민관이 힘을 합쳐 기술력을 높이고 비즈니스 모델을 만드는 데 선도적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중기부도 특구사업이 계속될 수 있도록 법령 정비와 실증특례 연장 등을 통해 적극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충희 세종시는 4차 산업혁명의 총아인 자율주행을 선도하기 위해 미래 자동차산업을 적극 육성하고 있으며 버스전용도로, 중앙공원 등에 자율주행차를 조기에 도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의> 중소벤처기업부 규제자유특구와(☎044-865-9818) 세종특별자치시 경제정책과(☎044-300-4031)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