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0월 23일 인디 라이트 플랫폼을 기반으로 진행되는 30팀의 자율주행 인디카 게임이 열린다.
상금은 무려 100만달러! 또 INDY AUTONOMOUS CHALLENGE 오피셜 영상에서 만나보시죠
https://youtu.behs CtuxLhy 50년 초에 소식을 접했는데 지금쯤 어느 정도 윤곽이 잡히지 않을까 해서 기다리고 있는데 그냥 포스팅을 해보겠습니다.
미국의 인디애나폴리스 서킷과 다양한 비영리 단체, 영리 단체가 협력하여 준비하고 있는 인디 자율 챌린지에 전세계 대학생 팀을 모집하여 총상금이 아닌 1등 상금 100만달러를 걸고 경쟁하고 있습니다.
플랫폼은 인디라이트에 사용하는 달라라샤시의 레이스카를 제공하며, 참가팀이 준비할 것은 이 플랫폼을 자율주행차로 만드는 소프트웨어입니다.여기에 2등팀도 25만달러, 3등팀도 5만달러인데 그 대신 조건은 50마일 정도인 20랩을 총 25분 이내에 완주해야 하고 평균속도로 말하면 120Mileh, 대략 200kmh의 평균속도로 인디애나폴리스 오벌트랙을 주행해야 합니다.
인디 라이트 레이싱카가 1, 2분씩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당연히 어느 팀이라도 지원한다고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승용차를 자율주행하는 시연 영상과 팀 소개 등을 포함해 두 차례에 걸친 선발 절차를 통해 팀을 모집했습니다.그리고 이번 5월 중에 가상 레이스에서 레이스 시뮬레이터 상에서 각 팀이 프로그래밍한 소프트웨어로 가상 레이스를 실시하여 중간 상금 10만, 5만달러를 지급한다고 합니다.
10월 21일~22일 달라라 IL-15 자율주행차에서 예선전을 치르고, 10월 23일 결승전을 펼칩니다.
본격적인 금전적 수준을 넘어 매우 진지한 대회이기 때문에 참가 팀은 FSAE 정적 이벤트 이상의 평가를 스폰서를 통해 계속적으로 발표와 보고를 해야 하며 기술적으로는 1. 자동차 커뮤니케이션이 되어야 합니다. 현재 FSG 등에서 진행되고 있는 자율주행포뮬러대회는 기본적으로 짐카나 또는 오토크로스의 자율주행이기 때문에 주행로를 읽고 장애물을 회피해야 하지만, 이 대회는 레이스인 만큼 레이더, 라이더, 카메라, 음파센서, 적외선센서, GPS 등 모든 것을 동원하여 다른 차량을 인식하여 무사히 경기를 치러야 합니다.2. 고속 주행 시 각 센서를 완벽하게 제어해야 합니다. 학생 포뮬러와 달리 200~300kmh 영역을 달리기 때문에 에어로다이내믹스의 영향과 진동의 영향이 당연히 크게 다가오며, 이 같은 상황에서 센서를 통해 완벽하게 제어해야 합니다.3. 무인차를 제어 및 조종하여 원격 계측 및 컨트롤 할 수 있는 UI와 소프트웨어, 센서문제 상황에서 원격제어 등 모든 것을 해야합니다.4. 모든 차량은 drive-by-wire방식으로 구동됩니다. 센서와 컨트롤 시스템 간의 구동을 컨트롤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해야 합니다.5. 고속영역의 파워트레인 제어를 해야 합니다. 이곳은 자율주행 학생 포뮬러와 달리 내연 기관을 이용하는 진짜 경주차입니다. 90도 V8420마력@9200rpm의 엔진에 6속 시퀀셜 기어박스가 결합된 IL-15의 액추에이터 기반의 컨트롤을 해야합니다.
현재 30팀 중 10팀이 포기했고 20팀이 진행 중인 상황입니다"학생 포뮬러로 유명한 학교로는 TU GRAZ가 현재 도전 중이고, 한국의 대학에서는 연합팀으로 출전한 국민대학교가 포기했고, 카스트는 현재 도전 중입니다"
인디카가 시즌 전체를 보는 건 아니지만 몇몇 레이스는 관심있게 보는 편이에요. 인디500은 당연히 보는 레이스죠.이걸 대학생 자율주행 레이스로 진행한다고 하니까 너무 기대가 됩니다
https://youtu.be/GlHFKR1g gso